Page 57 - 2021년12월 라이온지
P. 57
세계로 뻗어나가는 K푸드 Best 10
라면 마요네즈
해외에도 한국 라면이 널리 알려져 있다. 한국 마요네즈만의 너무 튀지 않는 맛은 마요네즈 넣
먼저 젊은 층 사이에서 명성이 자자한 은 음식을 즐겨 먹는 러시아인에게 효과적이기 때문
‘불닭볶음면’은 매운맛 트렌드의 선두 주 에 해외에서 어떤 음식과도 조화롭게 섞이는 소스의
자이다. 한국 고유의 음식으로만 그치지 입지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삼양 불닭볶음면
않고 외국 음식과 자연스럽게 조화하며 오뚜기 골드마요네스
본연의 매운맛까지 놓치지 않았다.
김치 풀무원 두부
이미 김치는 글로벌 시장이 웰빙에 주목 동물성 식재료를 대체하는 식물성 식품이
하기 시작하며, 유산균·비타민 등 영양 라는 테마로 채식 트렌드가 한창인 미국
성분 함유량이 높을 뿐 아니라 잼·소스 시장을 사로잡았다. 단백질 함유량이 높
등 독특한 맛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은 ‘하이 프로틴 두부’와 햄버거용 두부
김치가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다. 풀무원 두부 ‘패티 두부’를 개발한 것이 대표적이다.
도시락라면(용기라면) 메로나
러시아 용기라면의 시장점유율 60% 이 현지에서 인기 있는 과일 딸기·망고·코코
상을 차지한 도시락라면은 흔들리는 배 안 넛·바나나 맛을 추가하는 트렌디한 변화가
에서 식사를 해야 하던 러시아 선원의 휴대용 용기 이뤄지고 있으며, 현재 해외의 식문화에 많은
팔도 도시락
와 비슷하게 생겼다. 우리나라 식품이지만 해외의 고유한 식문화 영향을 미치며 K푸드 디저트 분야를 널리 알리는
와 잘 어우러진 덕분에 인기가 많다. 데 일조하고 있다.
빙그레 메로나
초코파이
김
‘초코파이’는 중국과 베트남에서 히트 상품
작년 한 해 동안 5억 달러 이상의 수출액을
으로 꼽히며, 맛이 부드럽고 고급스럽지만
달성한 김은 ‘식품계의 반도체’라 불리며
쉽게 접할 수 있는 저렴한 국민 간식이다.
전 세계의 해조류 시장을 급성장시켰다.
특히 제품명 ‘情(정)’이 ‘정감’으로 번역돼
오리온 초코파이 한국 김은 일본 김에 비해 두께가 얇고 식
친근한 이미지로 알려지기도 했다.
감은 부드러우며 가격이 저렴하다는 것이
인기 요인이다.
비비고만두
웰빙 트렌드가 대세인 미국 시장에서
동아제약 박카스
상승세를 보이며, 중국 만두에 비해 만 박카스
두피의 식감이 얇고 쫄깃하다는 점과 해외 진출에 성공한 음료 중에서도 단연 최고봉인 제품. 특
육류·채소를 가미한 풍부한 맛을 통해 히 캄보디아의 피로 해소제로 상승세를 보인 ‘박카스’는 수출
K푸드만의 건강식품이라는 스펙트럼 제품에서 한발 나아가, 현지의 국민 드링크와 건강 음료로 불리
을 형성했다. 며 압도적 인기를 누리고 있다. 출처 <뉴트리앤>
CJ제일제당 비비고만두
december 2021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