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9 - 2021년12월 라이온지
P. 59

면접에 임하는 자세                                        이 간단한 실험이 주는 시사점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면접관으로 지원자를 심사하는 자리에 참석했습니다. 입                     첫째, 사람들은 당장은 더 즐겁고 편한 것을 선호하고, 노
            사지원서 중심으로 서류전형을 통과한 지원자 중, 면접을                    력이 필요한 선택이나 행동은 미룬다는 점입니다. 내일
            통해 최종 합격자를 가리는 자리입니다. 면접에서 합격하                    퇴직 후 편안한 삶보다는 오늘 당장 쓰고 보는 것이지요.

            기 위해서는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요?                             둘째, 미래 자신의 모습을 생각하는 사람은 보다 올바른
            첫째, 자신이 해야 할 일의 존재 이유와 추구하는 바를 분                  선택을 한다는 점입니다. 미래의 자신을 생각하며 현재의
            명히 알아야 합니다. 사업의 본질과 환경에 따른 본질의                    자신을 만듦으로, 선택이라는 제한된 범주에서 일시적 충

            재정의를 할 수 있는가? 지향하는 모습과 달성하는 전략                    동을 억누른다고 합니다.
            을 알고 있는가? 일의 성과 기준과 얻고자 하는 바를 분명
            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                                     NO라고 이야기하는가?
            둘째, 해야 할 일의 프로세스를 꿰뚫고 있어야 합니다. 단                  평생 함께 하고 싶은 정말 사랑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어

            계가 어떻게 되고, 단계별 중점 사항이 무엇이며, 프로세                   렵고 불편한 부탁을 합니다. 사랑하기 때문에 거절하지
            스의 중복 부분과 갈등 요인이 무엇인가를 알아야 합니다.                   못합니다. 존경하는 상사가 있습니다. 그 상사가 너무 좋
            셋째, 성과를 내기 위해 무엇이 가장 중요한 가를 알고 있                  았습니다. 어느 날, 해줄 수는 있지만 결과가 누가 봐도

            어야 합니다. 기업은 성과이기 때문에 성과로 이야기하므                    좋지 않을 요청을 합니다. 존경하는 마음으로 합니다.
            로 성과 창출을 위한 목표와 과정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세월이 지났습니다. 어느 순간, 경영자 입장에서 두 가지
            넷째, 인성입니다. 사람이 조직에 들어왔을 때, 그 사람                   를 생각합니다. 해서는 안 될 일을 누군가에게 부탁해야

            으로 인해 더 하나가 되어야 합니다. 관심을 갖고 배려하                   한다면 누구에게 부탁할 것인가? 만약 NO라고 한다면 어
            며 성장하도록 돕고, 한마음이 되어 한 방향으로 가야 합                   떻게 할 것인가? 직장인이라면 해서는 안 될 일을 해서는
            니다.                                               안 됩니다.

                                                              하지만 항상 상황이 있습니다. 그 상황이 주저하게 합니
            스스로 선택하게 하세요                                      다. 리더는 결단의 기준이 있어야 합니다. 그 결단의 기준
            두 심리학자가 두 그룹의 대학생에 대해 3일간 볼 TV 영                  중 양심이거나 내부 가치가 NO라고 하면 절대 해서는 안
            화를 선정하는 실험을 했습니다. 채널은 2개로 하나는 오                   됩니다.

            락영화, 다른 하나는 교양영화만 있습니다.                           기본은 당연히 지켜야 합니다. 순간이 아닌 결국은 지속
            A 그룹은 그날 볼 영화를 즉흥적으로 선택하라고 했고, B                  성장이며, 조직과 구성원의 역량 강화로, 더 나은 미래를

            그룹은 첫날 영화를 보고 다음 이틀 볼 영화를 정하라고                    결정하는 것이 리더입니다.
            했습니다. 실험의 결과는 A그룹은 매일 오락영화를 보았                                      글 홍석환(홍석환의 HR전략 컨설팅 대표)
            고, B그룹은 첫날만 오락 영화를 보았고, 좀 더 보고 싶은
            영화를 생각하고 고른 영화는 대부분 교양 영화였습니다.










                                                                                                   december 2021  57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