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7 - 2025년4월 라이온지
P. 57

식인데, 저녁에 만둣국을 끓일 때 한 그릇에만 보만두를 넣
            었고 이를 먹는 사람이 신년 복을 가져간다고 믿었다.



            보쌈과 보쌈김치의 오묘하게 얽힌 인연
            오늘날 많은 사람이 보쌈이라고 하면 윤기가 자르르 흐르

            는 삶은 돼지고기를 떠올릴 테지만, 보쌈에는 약간 복잡한
            사정이 있다. 보쌈이라는 단어는 보자기를 의미하는 보(褓)
            와 쌈이 만나서 탄생했는데, 국어사전에서는 그 정의를 다

            양하게 풀고 있다. 그중 음식과 관련한 것은 “삶아서 뼈를
            발라낸 소·돼지 따위의 머리 고기를 보자기에 싼 다음 무
            거운 것으로 눌러 단단하게 만든 뒤 썰어 먹는 음식”과 “삶
            은 돼지고기를 썰어서 배춧속이나 김치 따위와 함께 먹는

            음식”이라고 나온다. 단어에 보자기를 의미하는 한자가 쓰
            인 점과 실제 조리 과정에서 보자기를 사용한다는 사실로
                                                              오늘날 보쌈은 삶은 돼지고기를 배춧속이나 김치와 함께 먹는다
            미뤄봤을 때 원래 보쌈이라는 단어는 전자에 가깝다고 추
            측할 수 있다.
            그렇다면 삶은 돼지고기는 왜 보쌈이 된 걸까? 김장하는                    였다. 조선일보 1924년 11월 6일 자에는 조선 말기 궁내부
            날 보쌈김치와 함께 먹던 돼지고기 수육에 보쌈이라는 명                    전선사 장선을 지낸 안순환이 보쌈김치에 대해 소개하는

            칭이 그대로 붙었다는 설이 유력하다. 과거에 보쌈김치는                    내용이 있는데, “보쌈김치는 대궐 안에서 시작한 것으로,
            낙지, 전복, 새우, 굴, 밤, 잣, 대추, 미나리 등 산해진미를              귀한 재료가 많이 들어가고 시간도 오래 걸려 궁을 출입할
            배춧잎 사이사이에 넣어서 아무나 먹을 수 없는 고급 요리                   정도로 신분 높은 대신의 집이 아니고서는 만들지 못한다”

                                                              고 설명했다. 부유한 집안에서도 귀한 손님을 대접할 때만
               포괄적으로 본다면 만두도 넓은 만두피에 소를 넣어 싸 먹는 쌈의 일종이다       상에 내놓았을 정도라고. 이토록 특별한 보쌈김치도 김장
                                                              철에 여느 김치와 함께 담갔다. 이때 김치를 워낙 다량으로
                                                              담가야 했던 만큼 양반집에서는 고생한 일꾼 혹은 동네 사

                                                              람을 위해 돼지를 한 마리 잡은 뒤 푹 삶아서 막 담근 김치
                                                              로 싸 먹을 수 있게끔 했는데, 이 문화가 섞여서 보쌈이라

                                                              는 음식이 탄생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보쌈김치라는 명칭 역시 1900년대 초반까지는 제대로 정
                                                              리한 자료가 없어서 보찜김치, 보싼김치, 쌈김치 등 다양
                                                              하게 부르다가 점차 쌈김치와 보쌈김치로 합쳐졌다. 하지

                                                              만 식품이나 언어 분야의 일부 학자는 보쌈이라는 단어가
                                                              주는 부정적 이미지 때문에 보쌈김치 대신 쌈김치나 보김
                                                              치로 부르자고 권하기도 한다.



                                                                                                      april 2025  55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