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 - 2020년 5월 라이온지
P. 15
두 번째 < 시간의 준비 >
① 흔히, 회장 등 클럽의 임원이 되면 한 달에 한 번 월례회나 챙기면
되고 그럭저럭 시간 보내면 되겠지 하고 생각하는데, 이는 큰 잘
못이다.
② 분명히 시간을 꽤 많이 빼앗기게 된다. 클럽의 임원들은 자기 클
럽의 각종 행사를 준비하고 참석해야 하며 회원들의 애경사나 지
구행사 및 지역, 지대와 각 클럽의 행사에도 빠짐없이 참석해야
한다.
③ 따라서 미리부터 시간을 만들어 놓아야 한다. 회사일이나 개인적
모임 등은 회장 임기 동안 당분간 소홀해질 수밖에 없음을 예상하
고 대비하지 않으면 본인도 힘들고 클럽도 어려워진다.
첫 번째 < 마음의 준비 > 4. 믿음을 주어야 한다
매사는 마음먹기 달렸다. 적어도 특정 조직의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회원들에게 믿음을 주기 위해서는 약속을 지켜야 한다.
스스로 강력한 마음의 다짐을 해야 한다. 마음의 다짐에는 ‘헌신할 수 1)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1년간의 회장 임기 중 무엇을 할 것인가에
있는 마음가짐’과 ‘매사에 적극적으로 임하겠다는 마음가짐’ 두 가지 대한 목표를 꼭 세워야 한다.
를 일컫는 말이다. * 목표 설정은 그동안 클럽활동을 해가며 느껴왔던 부분과 선배나 타
특히 라이온스의 리더는 이 두 가지 마음가짐이 절실히 필요한 것이
다. 일반 라이온들은 정해진 의무 즉 의무금 납부하고, 봉사 현장이나
라이온스 교육 등 각종 라이온스클럽 활동에만 참여하면 될 수 있다.
그러나 리더 즉, 임원은 자신의 개인 몫인 일반적인 라이온의 의무는
물론이고, 당해 조직 내의 타 라이온들로 하여금 각종 의무를 이행토
록 동기를 부여해야 하고 독려해야 한다. 그러려면 매우 힘들 뿐만
아니라 갖가지 속상한 상황에 무수히 부딪히게 된다.
이때, “그래 내가 이런 희생을 함으로써 우리 조직이 좀 더 단단해지
고 활성화되고 발전해 나간다”고 긍정적인 생각을 하면 그다지 힘들
지 않으나 “내가 왜 이런 짓을 해?” “내가 무엇 때문에 자존심 상하
고 남들로부터 속상한 소리 들어가며 이런 희생을 해야 하지?” 하는
부정적 생각을 한다면 절대로 임원직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는 것
을 명심해야 한다. 또한 아무리 많은 시간과 경제력을 투입한다고 하 회원들의 의견 등을 들어서 결정하는 것이 좋다 (설문조사나 대화 등
더라도 적극성이 없으면 그 성과는 미미할 수밖에 없다. 적극성이란 을 통한 자료수집이 바람직함).
일종의 끈기인데 그러한 끈기는 저절로 생성되는 것이 아니고 스스 2) 다음은 그 목표의 실천을 언제까지 어떻게 하겠다고 회원 및 본인
로 노력해 만들어내야 한다.모든 일에 적극성을 가지고 임하게 되면 스스로 약속을 하고, 약속한 사항은 반드시 이행해야 한다.
업무의 능률은 물론 힘도 덜 들게 된다. 그러므로 임원직을 수락하기 3) 그러기 위해서는 본인이 임기 중 실현 가능한 목표를 설정하고 그
전에 우선 ‘마음의 준비’를 먼저 해야 한다. 의 이행을 위한 구체적인 예산 및 시간표 등이 담긴 계획서를 마련하
may 2020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