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 - 2020년 5월 라이온지
P. 14

nd  공부합시다







                                            라이온스 입문⑧



                                        라이온스 봉사활동의 가장 소중한 밑거름은 교육이다.
                           새로 클럽 활동을 시작하는 신입회원들은 물론 기성 회원들에게 라이온스 봉사의 길잡이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며, 라이온스 초급 및 중급 교재를 연재한다.




            제1장 클럽의 임원이 갖추어야 할 사항                             와 직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각 단위클럽의 임원들이
            라이온스에는 여러 조직이 존재한다. 작게는 클럽의 조직이 있고 그              어떠한 자세로 임하느냐가 특정 회기의 특정 지구 활동의 성패를 가

            다음 지대, 그 위로 지역의 조직이 있으며, 각 지구본부의 조직이 있            름하는 중요한 조건이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클럽임원이 되기 위해
            고, 그 조직마다 구성원과 이를 이끌고 관리하는 임원이 있다. 조직             서는 사전에 어떠한 준비를 해야 하는지를 살펴보도록 한다. 클럽의
            마다 임원들이 어떠한 자세로 임원의 직을 수행하느냐에 따라 당해               임원이 되기 위해서는 일정한 경륜을 쌓아야 하고, 라이온스 상식과
            조직이 활성화되고 크게 발전하기도 하며, 때로는 크게 퇴보하거나               제 규정 등 기본사항을 습득해야 한다.
            아예 조직이 해체되는 경우도 생긴다. 이처럼 조직을 이끄는 임원의
            역할은 실로 지대한 것이다. 이러한 여러 조직 중 각 단위클럽은 규             1. 라이온스에 대하여 많이 알아야 한다
            모 면에서 라이온스의 여러 조직 중 비록 작지만 우리 라이온스에서              (1) 라이온스의 연혁, 조직체계, 라이온스 목적과 윤리강령의 내용 및

            가장 중요한 조직이다.                                      각종 용어와 회의의 종류 등을 학습한다.
            즉, 클럽이 모여서 지대를 이루고 지대가 모여 지역을 형성하며 각              (2) 국제헌장, 지구헌장, 지구규정 및 라이온스 의전서열 등 상위 규
            지역이 모여서 지구라는 거대한 조직이 만들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정을 먼저 숙지하고 하위의 제 규정과 클럽의 헌장 등도 숙지한다.
            각 단위클럽의 조직이야말로 라이온스 조직의 가장 기본이 되고 핵               (3) 회장, 1부회장, 총무, 재무 등의 역할과 임무를 익히고 이사회, 월
            심적인 조직이다.각 단위클럽의 활성화 여부가 바로 지구의 활성화               례회의 등의 기능과 식순을 파악한다.
                                                              (4) 회의 진행법과 연설 기법 및 리더십 등에 관해서도 사전에 학습
                                                              해야 한다.
                                                              (5) 타 클럽의 임원들과의 친교도 아주 중요하다. 잘나가는 클럽에서
                                                              는 배울 점을, 부진한 클럽에서는 주의할 점을 파악하고 서로 간에

                                                              상부상조할 사항에 대해 상의할 수도 있다.


                                                              2. 사명감을 가져야 한다
                                                              “적당히 1년 때워야겠다! ~”가 아닌 내가 클럽을 위해 뭔가 해보겠
                                                              다는 생각을 가지고 임기 중 이것만은 꼭 이루고야 말겠다는 생각으
                                                              로 임해야 한다.



                                                              3. 사전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어떤 조직의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우선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가장 중요한 준비 사항으로 2가지가 있다.


            12       may 2020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