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9 - 2022년3월 라이온지
P. 59

봄나물로 춘곤증 싹~ 기력 쑥!
            아직까지는 아침저녁으로 몸을 움츠리게 되지만, 봄은 봄

            이다. 바람에 매서운 기운이 빠지고, 대지에 푸른 생명이
            움트기 시작했다. 그리고 우리 몸도 변하기 시작했다. 온
            몸이 나른하고, 시도 때도 없이 졸음이 쏟아진다. 입안도

            깔깔해 영 식욕이 생기지 않는다. 몸의 신진대사가 활발해
            지면 필요한 영양소가 늘어나는데, 이를 충족시켜주지 않
            으면 자도 자도 졸리고 피곤이 몰려오는 것이다.

            이럴 때는 영양을 충분히 섭취해 활동 에너지를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육류나 생선 등을 주재료로 한 보
            양식도 좋지만, 이맘때는 봄기운을 듬뿍 머금은 나물이 최
            고다. 냉이, 달래, 쑥, 두릅 등 봄나물에는 비타민과 무기

            질 등 각종 영양소가 풍부해 나른한 우리 몸에 원기를 북돋
            아준다. 또 나물에 들어 있는 시네올(cineol) 성분은 소화
            액 분비를 촉진해 식욕을 자극하기 때문에 잃은 입맛을 되

            찾는 데도 효과가 있다.                                     냉이는 훌륭한 맛만큼이나 영양도 뛰어나다. 중국 고대 황
                                                              제 신농씨가 지었다는 <신농본초경>에 보면 “냉이는 지방
            봄나물의 대명사 냉이,                                      간을 막아주고 변을 묽게 해준다”고 기록되어 있다. 냉이
            눈을 맑게 해주는 비타민 A 풍부                                뿌리에 함유된 콜린 성분이 간의 지방을 제거해주는 역할

            봄의 전령사로 손꼽히는 냉이는 달착지근하면서도 구수한                     을 하기 때문. 따라서 만성피로로 고생하는 직장인이나 학
            맛이 일품이다. 또 조리법도 다양해 국으로, 무침으로 무                   업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학생이 먹으면 좋은 효과를 볼 수

            한 변신이 가능하다. 된장을 풀어 넣고 끓인 냉이된장국만                   있다.
            있으면 밥 한 공기는 눈 깜박할 새 뚝딱, 참기름 넣고 조물                 냉이 하면 빼놓을 수 없는 영양소가 바로 비타민이다. 특히
            조물 무친 냉이무침은 그야말로 밥도둑이다.                           냉이에 많이 들어 있는 비타민 A는 눈의 피로를 풀어주는
                                                              데 뛰어난 효능을 보인다. <동의보감>에도 “냉이로 국을

                                                              끓여 먹으면 간에 피를 공급해주고 눈을 맑게 해준다”고
                                                              쓰여 있을 정도. 냉이 100g만 먹어도 비타민 A 하루 섭취

                                                              량의 3분의 1이나 충족할 수 있으니, 냉이가 ‘눈의 비타민’
                                                              이라 불리는 것도 과언이 아니다.
                                                              뿌리채소인 냉이는 무엇보다 손질을 잘해야 한다. 뿌리와
                                                              잎 중간 부분에 흙이 많이 묻어 있기 때문에 칼로 잘 긁어

                                                              낸 후, 깨끗한 물에 여러 번 씻어야 한다. 또 뿌리에 심이
                                                              생긴 냉이는 질겨서 먹기 힘들기 때문에 뿌리가 너무 굵은
                                                              것은 피한다.                            출처 <뉴트리앤>



                                                                                                     march 2022  57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