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1 - 2021년 7월 라이온지
P. 61
성공학 강의
개인과 조직을 위한 브랜딩 전략
명성이란 무엇인가? 유능한 상사인가?
상공인 대표를 대상으로 강의를 하면서 요즘 어려운 일이 상사는 항상 깨어 있어야 하며, 사업과 연계하여 지속적 성
무엇이냐 물었습니다. 주 52시간 근무, 직원의 낮은 생산성 과를 창출해야 합니다.
과 잦은 이직도 있지만, 자동차 부품 CEO가 대부분으로 K 사업과 관련하여 속한 회사와 조직이 업계 선두주자가 되
자동차의 경영실적이라고 합니다. 한 회사에 매여 있으므 도록 혁신을 이끌어야 하며, 제품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바
로 다른 회사와의 거래와 수소차로의 전환에 대한 대비는 탕으로 시장을 창출해 성과를 이어가야 합니다. 전문성을
꿈도 못 꿉니다. 바탕으로 틈새시장을 찾고, 신제품에 대한 투자를 하여 지
그 가운데 A회사는 잘 나가고 있었습니다. 과감하게 사업 속 성장을 해야 합니다. 혼자 할 수 없는 일이기에 조직과
다각화를 추진하여 지금은 지역을 대표하는 물류 회사로 구성원의 탁월한 역량이 있어야 합니다.
변모했습니다. 이 회사의 CEO가 가장 걱정하는 것은 기업 그러므로 상사는 조직과 구성원을 성장시켜야 합니다. 자
이미지입니다. 자신의 브랜드는 불량 물건 하나로 끝장이 신의 구성원이 어떤 일을 잘하는가를 명확히 알고 있어야
나고, 잘못된 배달 하나가 신용도를 급격하게 떨어뜨리는 하며, 현재 하는 일과 할 일에 더 잘하게 할 방법을 제시하
만큼 브랜드 관리를 가장 중요시 합니다. 며 이끌게 하고, 조직과 구성원이 무엇을 배워야 하는가 스
회사의 명성도 그렇습니다. S전자 하면 믿습니다. 이미지 스로 정해 실천하게 해야 합니다.
관리를 위해 제품개발부터 문화와 사회적 가치를 생각합니 구성원의 꿈, 전략과 중점과제, 일하는 방식, 애로사항 그
다. 개인의 명성 관리도 중요하기에 CEO들은 철저하게 자 리고 성과를 내는 방법을 논의하는데 충분한 시간을 함께
기관리를 합니다. 하지 않으면 절대 유능한 상사가 될 수 없습니다.
글 홍석환(홍석환의 HR전략 컨설팅 대표)
july 2021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