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1 - 2020년 11월 라이온지
P. 51

인생학 강의








                 인생학 강의







                 어느 수준으로 바라보는가?

                 A기업의 인사담당자 대상의 강의를 시작하며 3가지 질문을
                 했습니다. 첫째, 직장인이 반드시 갖고 있어야 할 생각 2가지
                 가 있다면 무엇인가? 둘째, 인사(HR)의 정의를 어떻게 내리겠          행을 이끌며, 심각한 것은 혼자 해결하지 못하고 안일하고 게
                 는가? 셋째, 3년 후 바람직한 모습과 전략, 중점과제와 원칙           으르며 의존하게 됩니다.

                 이 있는가? 각 질문에 대해 4명씩 조편성을 하여 조별 의견
                 을 작성하고 2개조만 발표하게 했는데, 주어진 시간 5분 동안           시키지 않은 일
                 침묵이 흐릅니다.                                    아침 산책을 마치고 오는 길에 아파트 단지에 이동식 야채와

                                                              생선 차량이 와서 아내가 좋아하는 문어 한 마리를 샀습니다.
                 CEO(최고경영자)가 HR담당자에게 기대하는                     칭찬을 크게 기대한 것은 아니지만, "문어 한 마리 큰 것이 있
                 바가 무엇일까요?                                    어 샀는데 삶아 먹자"는 말과 동시에 고난이 시작되었습니다.

                 첫째 수준은 직원의 만족도 향상으로 직원들이 회사와 직무              손질하고, 왕소금과 밀가루에 씻고 또 씻고, 삶고 정리하는
                 에 불만족하지 말고 근무하기를 원하는 수준입니다.                  모든 과정이 사온 것을 후회하게 하네요.
                 둘째 수준은 조직과 직원의 역량 강화로 인사담당자가 사업              시키지 않는 일을 하는 직원이 있네요. 혼자의 생각으로 일을

                 과 연계해 조직과 직원의 역량을 강화해 성장하게 하는 수준             벌여 팀워크에 안 좋은 영향을 줍니다. 벌린 일을 마무리하느
                 입니다.                                         라 많은 사람이 힘들게 됩니다. 의도는 좋았으나 결과가 나쁘
                 셋째 수준은 회사 성과에 기여로 구체적인 성과 창출을 바랍             면 의도까지 의심받게 되지요.
                 니다.                                          뛰어난 경영자는 항상 가치를 생각합니다. 위험을 감수하는

                 넷째 수준은 인사담당자가 조직과 직원들이 회사를 변혁시켜              것이 아닌, 감수해야 할 위험이 무엇인가 알고, 이를 최소화
                 가길 바라는 단계입니다. 변화의 추이를 읽고 선제적으로 대             하려 노력합니다. 이들은 하지 않아야 할 일을 알고 하지 않
                 응하기를 원합니다.                                   습니다. 이들에게 중요한 것은 목표 달성이며, 항상 시장과

                 항상 깨어 있고, 고민하며 예방하거나 준비하기를 원합니다.             고객을 주시합니다. 기업의 생존과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모
                 어느 수준으로 조직과 직원을 이끌어 가는 가에 따라 조직과             든 영역에 목표를 정하고 임직원이 흐트러짐 없이 실행해 나
                 직원은 실력을 갖추고 성장합니다. 일에 대한 자부심을 갖고             가길 강조하지요. 시키지 않은 일을 하고 칭찬을 받는 경우는

                 어떠한 어려움도 도전하고 성취합니다. 리더가 낮은 수준으              그 일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했을 때뿐입니다.
                 로 조직과 직원을 이끌면, 조직과 직원 역시 낮은 목표와 실                         글 홍석환(홍석환의 HR전략 컨설팅 대표)







                                                                                                   november 2020  49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