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6 - 2025년3월 라이온지
P. 56
FOOD
향긋하고 쌉싸래한 맛이 일품,
산에서 나는 고기
더덕
더덕을 잘 아는 사람이라면 산에 갔을 때 어디선가 풍겨오 최고였는지, 고려 더덕이 크기가 크고 살이 부드럽다며
는 향긋한 냄새만으로도 더덕을 발견하고 “심 봤다!”를 외 감탄했다고 한다.
칠지도 모른다. 그만큼 향이 강한 더덕은 특히 고산지대 더덕은 산더덕(자연산 더덕)과 밭더덕(재배 더덕)으로 구
에서 오랫동안 자란 자연산 더덕의 경우 향과 약효가 뛰어 분할 수 있는데, 산더덕의 약효와 향이 더 강한 편이다.
나 산삼 못지 않은 약으로 쓰기도 한다. 쌉쌀하면서도 향 수년간 자란 산더덕은 산삼 못지않은 가격의 비싼 약재로
긋하고 쫄깃한 식감 덕분에 맛있는 식재료로 사랑받고 있 유통되기도 한다. 반면 밭더덕은 보다 단백질과 지방이
는 더덕은 모래에서 나는 인삼, ‘사삼(沙蔘)’이라는 별명이 많고 담백한 맛을 내기 때문에, 요리해 먹기는 이쪽이 더
있을 정도로 인삼과 단짝 같은 관계다. 겉보기에도 닮았 적합하다.
지만 사포닌과 이눌린을 비롯한 영양 성분을 가득 함유해 더덕은 인삼 못지않은 풍부한 영양소로 유명하지만, 쌉
기관지를 튼튼하게 만들어주고, 기운을 차리게 하는 자 쌀하고 향긋한 맛도 매력적이다. 게다가 은은한 단맛까
양·강장 효과도 있다는 점에서 비슷하다. 예부터 한방에 지 지니고 있어 조리법에 따라 아이도, 어른도 좋아하는
서는 인삼이 체질에 안 맞는 사람에게는 더덕을 대신 처방 요리로 만들 수 있죠. 매콤달콤한 양념을 발라 구운 쫄깃
했을 정도다. 하지만 더덕이 좀 더 달큼한 맛이 나고 쫄깃 한 더덕구이나 오이·사과 등과 함께 상큼하게 무친 더덕
하며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들어 있다는 차이가 있다. 무침이 대표적인 메뉴다. 불고기나 떡갈비 등을 만들 때
더덕을 주로 약으로 사용한 중국이나 일본과 달리, 우리 같이 넣어도 의외로 잘 어울릴 뿐 아니라, 더덕 특유의
나라에서는 더덕을 식생활에서도 많이 활용했다. 송나라 독특한 향과 맛으로 요리 맛을 더해준다. 건조하고 아직
사신이었던 서긍은 고려에 다녀간 후, 고려에서는 매일 쌀쌀한 날씨에 기관지가 상하고 기운도 떨어지기 쉬운 계
반찬으로 더덕을 먹는다며 놀라워했다고 한다. 또 고려 절에맛있는 더덕 요리로 건강한 식탁을 만들어보는 건 어
인삼을 최상품으로 여긴 것처럼 더덕 역시 우리나라 것이 떨까?
54 march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