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9 - 20212년1월 라이온지
P. 59
매생이
뜨끈한 대접 한 그릇에 담긴 겨울 바다의 짙고 푸른 향이 담긴 매생이.
비슷하게 생겼다는 이유로 감태나 파래와 그만 헷갈릴 것. 그 영양과 효능이
우주에서도 검증된 매생이는 아는 사람은 안다는 완전 무공해 식재료다.
5대 영양소가 골고루 들어 있는 식물성 고단백 식품 매생
이는 특유의 맛과 향이 아주 일품이다. 1년 중 12월부터 2
월까지 약 3개월 동안 깨끗한 청정 해역에서만 자라는 남
도 지방의 특산물로 강진, 완도 등 전남 서남 해안의 극히
일부 지역에서만 생산되니 눈독 들이지 않으면 때를 놓치
기 십상이다. 물론 1년 열두 달 냉동 보관한 매생이를 먹을
수 있는 세상이지만, 그래도 살아 있는 제철의 맛과는 비교
할 수 없다.
생육 조건이 까다롭다?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진 해조류 중 가장 까다롭기로 유명
한 매생이는 청정 해역 중에서도 특히 물살이 잔잔한 연안
에서만 자라며, 환경에 예민해 오염 물질이 유입되면 생육
하지 못하고 바로 녹아버린다는 사실. 그야말로 완전 무공 방한다. LDL콜레스테롤 함량을 저하하고 고혈압을 내리
해 식품이라 할 수 있다. 희소가치가 높은 만큼 김이나 파 는 성분도 함유된 바다의 최고 웰빙 식재료다.
래와는 또 달리 섬세한 감칠맛으로 사람들의 입맛을 사로
잡는다. 한랭성 바다 이끼 종류이며, 가지는 없고 외관상 후루룩 한 입, 어떻게?
어린 창자파래와 비슷하다. 매생이의 모양새는 생육조건만큼이나 손대기 까다로운 비
주얼을 자랑하지만 의외로 손질은 어렵지 않다. 넉넉한 찬
우주에서도 인정받았다? 물에 매생이를 담은 뒤 풀어지기 시작하면 조금씩 집어서
매생이는 임금께 올리던 진상품이었을 정도로 역사 속에서 흔들어가며 씻어 건진 후 체에 담아 물기를 빼면 끝! 물기
뿐만아니라 21세기에도 그 가치를 톡톡히 인정받고 있다. 가 어느 정도 빠졌다면 부침, 무침, 맑은 탕 등 바다 내음을
바로 식물성 고단백 식품으로 우주 식량으로 지정된 것. 엽 한껏 느낄 수 있는 요리를 시작해보자. 대표적으로는 매생
록소와 식이섬유가 풍부해 다이어트·변비 해소 식품으로 이죽, 매생이떡국, 매생이부침개 등이 있으며 찰떡궁합 식
도 안성맞춤이며 철분, 칼슘, 요오드 같은 무기염류와 비 재료인 굴과 함께 조리하면 맛이 더욱 풍부해진다. 1월, 해
타민 A·C를 많이 함유해 성장 발육에 좋다. 또 소화 흡수 조류 특유의 감칠맛을 즐기고 싶다면 바로 매생이가 정답
가 잘되는 강알칼리성 식물로 위궤양 같은 위장 질환을 예 이다. 출처 <뉴트리앤>
january 2022 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