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2 - 2020년 1월 라이온지
P. 62
nd 성공학 강의
멀리 보고 빨리 결정하라
강의에 참석한 학생들에게 조를 편성해주고 하나의 질문을 했 재에 머물려 합니다. 틀 안의 내부 사람과 경쟁하며 세계의 변
습니다. “기업이 추구하는 목적이 무엇이며, 어떻게 해야 하느 화를 읽지 못할 뿐 아니라 알려고 하지 않는 듯합니다. 학생만
냐?” A조가 발표합니다. “기업이 추구하는 목적은 이윤 추구 이 아닌 사회 전반에서 좀 더 멀리 보며, 비전과 전략을 중심
이며, 이를 위해 물건을 많이 만들어 팔아야 한다.” 이유는 달 으로 실천 방안을 추진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크네요.
랐지만, 추구하는 목적은 같았습니다.
의사결정 어떻게 하세요
기업이 추구하는 목적은 무엇일까요? 리더의 제1 조건은 바로 의사결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상황을
다시 “돈을 많이 벌어 무엇을 해야 하느냐?”고 물었습니다. 가 분석하여 결단을 내리지 못하는 리더는 조직과 구성원에게 영
장 많은 대답은 사회공헌이네요. 20여 년전 사회 지도층 인사 향력을 발휘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게 됩니다. 그렇다고
를 초청하여 지방 공장을 방문한 적이 있습니다. 특별히 공문 자신과 자신이 속한 집단만을 위해 의사결정 한다면 어떻게
에 어떻게 방문일정을 가져가라고 하지 않았지만, 방문한 사업 될까요?
장마다 우리는 이런 사업을 하고 만드는 제품이 이것입니다. 흑백의 논리에서 벗어나 타협점을 찾고 서로가 상생하는 결정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제품을 만드는 회사는 어디이며, 경쟁 을 해야 하잖아요. 어떻게 의사결정을 하면 보다 효과적일까
력의 지표는 이것입니다. 현재 우리가 이 지표로 보면 이만큼 요? 문제가 무엇인가를 올바르게 정의하는가? 발생한 문제가
떨어져 있습니다. 우리는 이런 전략으로 이렇게 노력하여 언 어떤 유형인가를 제대로 파악하는가? 의사결정을 통해 얻고
제쯤 따라잡을 것입니다. 이런 형태로 공장을 설명하고 관심 자 하는 바와 성과에 도움이 되는가를 분명히 하는가? 타협하
과 지원을 요청합니다. 지 않고 현재와 미래를 고려한 길고 멀리 보는 결정을 내리는
이 당시에는 비전과 전략이 있고, 경쟁자와의 차이가 분명했 가? 의사결정 후에 해야 할 실행방안이 명확한가? 실행을 누
습니다. 도전하고 악착같이 실행하겠다는 열정과 의지가 있었 가 어떻게 언제까지 할 것인가 분명히 지정하는가? 중간중간
습니다. 어느 순간, 안락함과 즐거움, 달린 열매에 만족하며 현 점검과 피드백은 누가 어떻게 할 것인가 결정했는가? 여러 체
크 포인트가 있을 것입니다.
제가 아는 A전무는 의사결정을 미룬 적도 없지만, 본인이 결정
한 사안을 거절받거나 수정을 요청받은 적이 없습니다. 이분이
의사결정의 신처럼 존경받는 이유는 소통입니다. 구성원과의
소통뿐 아니라, 상사와의 매일 소통으로 자신이 하는 일을 상
사가 소상히 알도록 하고, 중요한 이슈에 대해서는 별도 이야
기를 나눴기 때문에 수정될 일이 없었습니다. 내 주장만 펼치
려 하면, 상대의 마음을 얻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글 홍석환 (홍석환의 HR전략 컨설팅 대표)
60 january 2020